카테고리 없음

🌊젓다 vs 젖다, 📞걸다 vs 걸리다,🧖감다 vs 감기다:헷갈리는 맞춤법 3쌍 12탄! 🎉

디노의 삶 2025. 4. 24. 06:34
728x90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3가지 표현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

1. 젓다 vs 젖다

🔍 ‘젓다’손으로 섞거나 휘젓다라는 뜻의 타동사이고,
‘젖다’물기나 습기가 배다라는 뜻의 자동사입니다.

  • ✅ 예: 국을 숟가락으로 젓는다.
  • ✅ 예: 비를 맞아 옷이 젖었다.
  • ❌ 틀린 예: “국이 잘 젖었다” (국은 ‘젓다’).

2. 걸다 vs 걸리다

🔍 ‘걸다’전화를 걸다, 옷걸이에 옷을 걸다라는 뜻의 타동사이고,
‘걸리다’전화를 받거나 시간·병에 걸리다라는 뜻의 자동사입니다.

  • ✅ 예: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
  • ✅ 예: 전화가 걸린다.
  • ❌ 틀린 예: “전화가 걸었다” (걸리다 사용).

3. 감다 vs 감기다

🔍 ‘감다’머리를 씻다, 눈을 감다라는 뜻의 동사이고,
‘감기다’머리를 누군가에게 씻겨 달다 또는 빛·소리가 감돌다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 예: 샴푸로 머리를 감는다.
  • ✅ 예: 어머니가 아기의 머리를 감겼다.
  • ❌ 틀린 예: “머리를 나 혼자 감기다” (감다 사용).

4. 비교표로 한눈에 보기

표현 품사 및 의미 예문
젓다 타동사: 섞거나 휘젓다 수프를 젓는다.
젖다 자동사: 물기·습기 배다 빵이 젖었다.
걸다 타동사: 전화를 걸다/옷을 걸다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
걸리다 자동사: 전화가 오다/병에 걸리다 감기에 걸렸다.
감다 동사: 머리를 씻다/눈을 감다 잠들기 전에 눈을 감는다.
감기다 타동사/자동사: 머리 씻겨지다/감돌다 향기가 방에 감겼다.

5. 꿀팁 & 결론 🎯

1️⃣ 자동사 vs 타동사를 구분하세요!
2️⃣ 주체와 대상을 떠올리면 헷갈림 끝!
3️⃣ 예문 반복으로 정확히 기억하세요. 😊

Tags:
#맞춤법 #젓다젖다 #걸다걸리다 #감다감기다 #한국어팁 #표현정리 #국어 #언어학습 #생활국어 #글쓰기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