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떨다 vs 떨리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디노의 삶 2025. 4. 30. 05:31
728x90

 

떨다 vs 떨리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한국어에서 떨다떨리다는 발음이 같아 많이 헷갈리지만, 의미와 주체가 다르므로 상황에 맞추어 정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떨다는 사람이 손이나 몸을 의도적으로 떨거나 떨리도록 만드는 동작을, 떨리다는 감정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해 신체가 저절로 흔들리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긴장, 공포, 추위 등으로 인해 몸이 떨리는 순간과 누군가 고의로 떨림을 유발하는 행위를 구분해 보세요.

1. 떨다의 의미 및 예문

떨다는 주어가 사람 또는 동물이 '손발이나 몸을 의도적으로 흔들거나 떨리도록 만들다'는 뜻의 동사입니다. 주로 과격하거나 스트레칭용 동작, 혹은 생리적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동작에 쓰입니다.

  • 예: “추위에 떨지 않으려고 온몸을 떨었다.”
  • 예: “운전 중 손을 고정시키지 못해 핸들을 떨고 있었다.”
  • 예: “의사는 환자의 팔을 흔들어 근육이 떨리게 했다.”
  • 예: “스트레칭으로 몸을 가볍게 떨어 긴장을 풀었다.”

2. 떨리다의 의미 및 예문

떨리다는 몸이나 심장이 '긴장, 공포, 흥분, 추위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저절로 흔들리다'는 수동적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사입니다.

  • 예: “무대 위에 서자 긴장돼 다리가 떨렸다.”
  • 예: “어두운 골목을 지나갈 땐 공포에 몸 전체가 떨린다.”
  • 예: “심장이 빠르게 떨려 호흡이 가빠졌다.”
  • 예: “차가운 바람이 불자 손이 떨리기 시작했다.”

3. 구분 팁

‘주체가 동작을 일으킬 때’는 떨다, ‘감정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상태 변화’는 떨리다로 기억하세요. 능동적 vs. 수동적 구분이 핵심입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발이 떨렸다”라고 하면 떨다와 떨리다 중 어떤 표현인가요?
A1. 감정이나 추위로 인해 발이 자동으로 흔들린다는 의미이므로 “발이 떨렸다”가 맞습니다.
Q2. “손을 떨다”와 “손이 떨리다” 중 차이는 무엇인가요?
A2. “손을 떨다”는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손을 흔드는 행위, “손이 떨리다”는 떨림이 저절로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관련 태그

  • #떨다 #떨리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기쉬운맞춤법 #제대로알고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