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깨다 vs 깨우다 올바른 사용법!
디노의 삶
2025. 4. 29. 06:33
728x90
깨다 vs 깨우다
올바른 사용법!
한국어에서 깨다와 깨우다는 소리가 같지만, 동작의 주체와 방향이 달라 올바르게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1. 깨다의 의미 및 예문
깨다는 스스로 잠에서 깨어나다 혹은 의식을 회복하다라는 능동적이자 자발적인 동작입니다.
- 예: “아침 6시에 알람 소리에 깼다.”
- 예: “깊은 생각에서 겨우 깨어났다.”
2. 깨우다의 의미 및 예문
깨우다는 다른 사람을 잠에서 깨게 하다라는 뜻의 사역 동사입니다.
- 예: “엄마가 아이를 조심히 깨웠다.”
- 예: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잠을 깨웠다.”
3. 구분 팁
스스로 일어나는 것은 깨다, 남이 일어나게 하는 것은 깨우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눈이 깨어졌다”라고 쓸 수 있나요?
- A1. 눈이 스스로 열리는 것은 “눈이 떠졌다” 또는 “깨어났다”를 사용합니다.
- Q2. “전화로 사람을 깨다”라고 표현하나요?
- A2. 다른 사람을 깨우는 동작이므로 “사람을 깨우다”가 맞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