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걸다 vs 걸리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디노의 삶
2025. 4. 28. 00:05
728x90
걸다 vs 걸리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한국어에서 걸다와 걸리다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물건을 걸다와 시간이 걸리다의 상황을 구분하여 정확한 단어를 사용해야 혼동을 피할 수 있습니다.
1. 걸다의 의미 및 예문
걸다는 옷걸이에 옷을 걸다, 전화 걸다 등 무언가를 매달거나 연결하다라는 뜻입니다.
- 예: “코트를 옷걸이에 걸었다.”
- 예: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다.”
2. 걸리다의 의미 및 예문
걸리다는 시간이 소요되다, 거미줄에 걸리다, 병에 걸리다 등 수동적 상태가 되거나 소요되는 개념을 뜻합니다。
- 예: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 예: “모기에 물린 상처에 가려움이 걸렸다 (잘못된 예). 올바른 표현은 “모기에 물렸다.”
- 예: “겨울 감기에 걸렸다.”
3. 걸다 vs 걸리다, 구분 팁
“무언가를 매달거나 연결”할 때는 걸다, “시간·병 등에 영향받는 상태”일 때는 걸리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통화가 걸렸다”라고 써도 되나요?
- A1. “통화가 연결되었다”라는 의미로, “전화가 걸렸다”도 자연스럽지만 “전화가 연결되었다”가 명확합니다.
- Q2. “상처에 걸리다”는 올바른 표현인가요?
- A2. 상처는 “걸리다”보다는 “상처를 입었다”가 일반적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