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젖다 vs 젓다 제대로 알고쓰자

디노의 삶 2025. 4. 26. 00:10
728x90

 

젖다 vs 젓다

제대로 알고쓰자

한국어에서 젖다젓다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와 용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글에서 헷갈리지 않도록 확실히 구분하여 사용해 보세요.

1. 젖다의 의미 및 예문

젖다액체가 스며들어 축축해지다, 물에 잠기다를 뜻합니다.

  • 예: “빗속을 오래 걷다 보니 옷이 다 젖었다.”
  • 예: “발이 물에 젖어 추웠다.”

2. 젓다의 의미 및 예문

젓다숟가락·젓가락을 이용해 저어 섞다, 손으로 흔들다를 의미합니다.

  • 예: “국에 소금을 넣고 젓는다.”
  • 예: “차를 우려낼 때 잘 젓어 주세요.”

3. 구분 팁

“축축해지다·스며들다”이면 젖다, “섞다·흔들다”이면 젓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옷이 젓다”라고 써도 되나요?
A1. “옷이 젖었다”가 맞습니다.
Q2. “커피를 젖다”와 “커피를 젓다”의 차이는?
A2. “커피에 시럽이 젖다”는 잘못된 표현이며, “커피를 젓다”가 올바릅니다.

관련 태그

  • #젖다 #젓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기쉬운맞춤법 #제대로알고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