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굽다 vs 곱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디노의 삶 2025. 4. 25. 06:31
728x90

굽다 vs 곱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완전 정리

한국어를 쓰다 보면 비슷한 소리 때문에 ‘굽다’‘곱다’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알면 글의 품격이 달라집니다.

1. 굽다의 의미 및 예문

굽다뜨거운 열을 가해 익히다 또는 물을 굽히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예: “고기를 센 불에 굽고 냄새를 살짝 태웠다.”
  • 예: “팬에 기름을 두르고 빵을 노릇하게 굽는다.”

2. 곱다의 의미 및 예문

곱다아름답거나 고와서 마음에 들다라는 뜻입니다.

  • 예: “그녀의 목소리가 참 곱다.”
  • 예: “햇살이 방 안을 곱게 비춘다.”

3. 굽다 vs 곱다, 구분 팁

‘굽다’는 요리 또는 열 처리와, ‘곱다’는 아름다움 또는 고운 상태를 떠올리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피부가 곱다"와 "피부를 굽다" 중 어느 표현이 맞나요?
A1. 피부의 상태를 말할 때는 "피부가 곱다"를 사용하세요.
Q2. "고기 곱게 굽다"는 올바른 표현인가요?
A2. 고기를 익히는 의미라면 "고기를 굽다"만 사용하세요. '곱게'는 '잘'의 의미로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관련 태그

  • #굽다 #곱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는단어 #표준어 #글쓰기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