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열다 vs 열리다 제대로 알고쓰자

by 디노의 삶 2025. 4. 30.
728x90
728x90

 

열다 vs 열리다

제대로 알고쓰자

한국어에서 열다열리다는 비슷해 보여도, 능동과 수동의 차이가 있어 문맥에 맞게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1. 열다의 의미 및 예문

열다문, 상자, 책 등을 직접 여는 능동적 동작을 뜻합니다.

  • 예: “창문을 열다 바람을 들였다.”
  • 예: “책을 펼쳐 내용을 열어 읽기 시작했다.”

2. 열리다의 의미 및 예문

열리다문이나 창문 등이 스스로 열리는 수동적 상태를 나타냅니다.

  • 예: “바람 때문에 문이 열렸다.”
  • 예: “상자가 잘 열리지 않아 열쇠를 사용했다.”

3. 구분 팁

스스로 여는 행동은 열다, 외부 요인으로 스스로 열리는 상태는 열리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문을 잘 열리다”라고 써도 되나요?
A1. 능동적 동작을 말할 때는 “문을 열다”를 사용하고, “문이 잘 열리다”는 수동적 표현입니다.
Q2. “상자가 열다”와 “상자가 열리다” 차이는?
A2. 사람이 직접 여는 것은 “상자를 열다”, 스스로 열리는 것은 “상자가 열리다”를 씁니다.

관련 태그

  • #열다 #열리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기쉬운맞춤법 #제대로알고쓰자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