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잡다 vs 줍다 제대로 알고쓰자

by 디노의 삶 2025. 4. 28.
728x90

 

잡다 vs 줍다

제대로 알고쓰자

한국어에서 잡다줍다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 물건을 손으로 움켜쥐다땅에 떨어진 것을 주워들다 상황을 구분하여 정확한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1. 잡다의 의미 및 예문

잡다손이나 도구로 무언가를 움켜쥐거나 붙잡다라는 뜻입니다.

  • 예: “공을 단단히 잡았다.”
  • 예: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아야 한다.”

2. 줍다의 의미 및 예문

줍다땅이나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들어 올리다라는 의미입니다.

  • 예: “길에서 동전을 주워 주머니에 넣었다.”
  • 예: “종이를 떨어뜨렸길래 대신 주웠다.”

3. 잡다 vs 줍다, 구분 팁

“움켜쥐다·붙잡다”면 잡다, “주워들다·줍다”면 줍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회를 줍다”라고 써도 되나요?
A1. 기회를 붙잡는다는 의미라면 "기회를 잡다"를 사용해야 합니다.
Q2. “쓰레기를 잡다”와 “쓰레기를 줍다”의 차이는?
A2. 땅에 떨어진 쓰레기를 들어 올리면 "줍다", 쓰레기를 손에 들고 있으면 "잡다"를 사용합니다.

관련 태그

  • #잡다 #줍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기쉬운맞춤법 #제대로알고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