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굵다 vs 굳다 올바른 사용법!

by 디노의 삶 2025. 4. 28.
728x90

 

굵다 vs 굳다

올바른 사용법!

한국어에서 굵다굳다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물체의 두께와 물질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상황을 구분하여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세요.

1. 굵다의 의미 및 예문

굵다물체의 두께나 지름이 크다라는 뜻입니다.

  • 예: “이 로프는 다른 것보다 훨씬 굵다.”
  • 예: “굵은 펜으로 강조 표시를 했다.”

2. 굳다의 의미 및 예문

굳다액체나 물질이 단단하게 되다, 의지가 확고해지다의 뜻입니다.

  • 예: “시멘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작업해야 한다.”
  • 예: “굳은 의지로 목표를 이루었다.”

3. 구분 팁

“두께·지름 크다”는 굵다, “단단해지다·확고해지다”는 굳다로 기억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콘크리트가 굵다”라고 할 수 있나요?
A1. 콘크리트의 두께를 말할 때는 "두께가 굵다"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은 "두껍다"를 사용합니다.
Q2. “굳은 마음”과 “굵은 마음” 중 어떤 표현이 맞나요?
A2. 단단한 결심을 표현할 때는 "굳은 마음"이 맞습니다.

관련 태그

  • #굵다 #굳다 #맞춤법 #한국어 #언어학습 #헷갈리는단어 #올바른사용법

728x90